◈ Copyright of the original
※ Stanley Martin Hauerwas (1940년생, https://en.wikipedia.org/wiki/Stanley_Hauerwas ) ; an American Protestant theologian, ethicist, and public intellectual (미국의 개신교 신학자, 윤리학자, 사회 지식인).
Hauerwas is considered by many to be one of the world's most influential living theologians and was named "America's Best Theologian" by Time magazine in 2001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현존 신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2001년 Time지에서 "미국 최고의 신학자"로 선정되었다).
Hauerwas has achieved notability outside of academia as a public intellectual, even appearing on The Oprah Winfrey Show {그는 Oprah Winfrey( https://cw2588.blogspot.com/2022/11/oprah-winfrey-sayings-quotes-wikipedia.html ) Show에 출연하는 등 학계 밖에서도 대중적 지식인으로서 명성을 얻었다}.
Among his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to modern theology are his advocacy of and work related to virtue ethics and postliberal theology (현대 신학에 대한 그의 가장 중요한 공헌 중 하나는 덕 윤리와 탈 자유주의 신학을 옹호하고 관련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 Chung Woon-gap profile
https://jc2588.tistory.com/pages/hello
1. Children help us to be less lonely.
Children help give meaning to life.
아이들은 우리가 덜 외로워지도록 도와준다.
아이들은 우리 인생에 의미를 부여한다.
2. No powers determine our lives more completely than those we think we have under our control.
스스로 컨트롤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완벽하게 자기 인생을 결정하는 힘은 없다.
3. We don’t fall in love and then get married; instead we get married and then learn what love requires.
우리는 사랑에 빠진 후 결혼하는 것이 아니라, 결혼한 후 사랑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배우게 된다.
4. To come to terms with our beginning requires a truthful story to acquire the skills to live in gratitude rather than resentment for the gift of life.
우리의 시작을 받아들이려면 인생이라는 선물에 대한 원망보다는 감사함으로 살아가는 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진실한 스토리가 필요하다.
5. When you are trying to change the questions, you have to realize that many people are quite resistant to such a change.
They like the answers they have.
질문을 바꾸려고 할 때, 많은 사람들이 그러한 변화에 상당히 저항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들은 자신이 가진 답을 좋아한다.
6. From my perspective, ‘postmodernism’ merely names an interesting set of developments in the social order that is based on the presumption that God does not matter.
내 관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신이 중요하지 않다는 가정(假定)에 기반한 사회 질서의 흥미로운 일련의 발전 양상을 지칭할 뿐이다.
7. We are, quite rightly, not interested in the theoretical issue of suffering and evil; rather, we are torn apart by what is happening to real people, to those we know and love.
우리는 당연히 고통과 악의 이론적인 문제에 관심이 없다.
오히려 우리는 우리가 알고 사랑하는 실제 사람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괴로워한다.
8. We never know whom we marry; we just think we do.
Or even if we first marry the right person, just give it a while and he or she will change.
우리는 자신이 누구와 결혼하게 될지 결코 알지 못한다.
우리는 단지 자신은 언젠가는 결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니면 우리가 적당한 사람과 결혼한다고 해도, 시간이 좀 지나면 상대가 다른 사람으로 바뀔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9. There are three activities that are absolutely vital in the creation of community.
The first is eating together around the same table.
The second is praying together.
And the third is celebrating together.
공동체를 만드는 데 절대적으로 중요한 세 가지 활동이 있다.
첫 번째는 같은 식탁에 둘러앉아 함께 식사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함께 기도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함께 축하하는 것이다.
10. No wonder modern humanity, even as it loudly proclaims its freedom and power to choose, is really an impotent herd drive this way and that, paralyzed by the disconnectedness of it all.
It’s just one damn thing after another.
현대 인류가 자유와 선택의 힘을 큰 소리로 외치면서도, 실제로는 이리저리 무능한 무리의 추동(推動)에 불과하며, 모든 것의 단절에 마비된 채 움직이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저 빌어먹을 일들이 연이어 일어날 뿐이다.
11.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ne committing suicide, his or her act can be one of the most perverse forms of moral manipulation, as it abandons those left behind to their shame, guilt, and grief.
Suicide is something like a metaphysical “I gotcha!”.
It is often an attempt to kill or wound others.
자살하는 사람의 관점에서 보면, 그 행위는 남겨진 사람들을 수치심, 죄책감, 슬픔 속에 내버려 두기 때문에 가장 비뚤어진 도덕적 조종의 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자살은 형이상학적으로 "내가 해냈다!" 라고 외치는 것과도 같다.
자살은 종종 다른 사람을 죽이거나 다치게 하려는 시도의 일종이라고도 볼 수 있다.
12. To be poor does not mean you lack the means to extend charity to another.
You may lack money or food, but you have the gift of friendship to overwhelm the loneliness that grips the lives of so many.
가난하다고 해서 다른 사람에게 자선을 베풀 방법이 없다는 뜻은 아니다.
돈이나 음식이 부족할지라도, 수많은 사람들의 인생을 사로잡는 외로움을 압도할 수 있는 우정이라는 재능을 가지고 있다.
🎤 Stanley Hauerwas Interview | Are You a Christian?
https://www.youtube.com/watch?v=GDD8fOpB-tw
🪬 Stanley Hauerwas on the Life of a Theologian
https://www.youtube.com/watch?v=fY7qL4pBN9I
※ Quotes & sayings from People who study religion(종교 연구가들의 명언)
-. Aleister Crowley(알리스터 크롤리)
https://cw2588.blogspot.com/2024/11/religion-of-thelema-aleister-crowley.html
-. Feisal Abdul Rauf(파이살 압둘 라우프)
https://cw2588.blogspot.com/2024/06/feisal-abdul-rauf-sayings-quotes-nur.html
-. Felix Adler(펠릭스 아들러)
https://cw2588.blogspot.com/2022/12/felix-adler-sayings-quotes-wikipedia.html
-. Hamza Yusuf(함자 유수프)
https://cw2588.blogspot.com/2022/10/hamza-yusuf-sayings-quotes-wikipedia.html
-. Huston Smith(휴스턴 스미스)
https://cw2588.blogspot.com/2023/07/huston-smith-sayings-quotes-books.html
-. Joseph Campbell(조지프 캠벨)
https://cw2588.blogspot.com/2022/11/joseph-campbell-sayings-quotes.html
-. Karen Armstrong(카렌 암스트롱)
https://cw2588.blogspot.com/2022/11/karen-armstrong-sayings-quotes.html
-. Martin Luther(마틴 루터)
https://cw2588.blogspot.com/2022/11/martin-luther-sayings-quotes-wikipedia.html
-. Max Muller(막스 뮐러)
https://cw2588.blogspot.com/2022/11/max-mullermuller-wise-sayings-quotes.html
-. Shane Claiborne(셰인 클레이본)
https://cw2588.blogspot.com/2024/06/shane-claiborne-sayings-quotes-simple.html